본문 바로가기

BeAFarmer/SmartFarm

국가 정책 방향과 스마트팜

스마트팜의 정의

  • 좁은 의미로써 : ICT를 농장(비닐하우스, 축사, 과수원) 에 접목하여 원격 및 자동으로 작물과 가축의 생육환경을 적정하게 유지하고 관리할 수 있는 농장
  • 넓은 의미로써 : ICT와 에너지절감기술, 자동화 기계등 다양한 최신 기술 접목으로 에너지 절감과 품질향상, 수확량 증대 등 농업 전반에 걸친 혁신기술

 

스마트팜 운영 원리

 

한국형 스마트팜 표준 모델

  • 1세대 [편이성 향상] : 시간과 장소의 구속에서 농업인을 자유롭게 하여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함
  • 2세대 [생산성 향상] : 데이터를 기반으로 작물과 가축의 최적의 생육상태를 위한 환경 조건을 설정하고 정밀한 관리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함
  • 3세대 [플랜트 수출-자동화] : 2세대 기술에 통합제어시스템과 로봇, 지능형 농기계 등이 포함되어 하나의 유기적인 플랫폼을 생산하고 수출까지 실현을 목표로 함 

2세대 VS 3세대 스마트팜, 농진청 사이버(스마트팜원예) 교육자료 중.

 

 

스마트팜 관련 기업 성장 지원 (진위여부 파악 필요)

  • 센서, 제어기 표준 제정 및 17년부터 표준장비만 정부 지원사업으로 공급되도록 지침 개정
  • 농기계협동조합 품질 인증제 - 기기검증/AS퀄리티 향상 (원가계산서 제출 의무)
  • 스마트팜 수출협의회 운영 - 수출 유망국 리스트업, 시장 조사
  • 해외농업기술개발센터 등 농업 ODA(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, 공적개발원조) 사업 연계
  • 스마트팜 핵심기술 개발 연구센터(ARC) 추진 : 연구인력 확보처로 참조 가능 [경상대학교 스마트팜연구센터]

 

스마트팜 정책 추진 성과

 

스마트팜 정책 확산의 미흡한점

  • 시설현대화 미흡
  • 투자 확대 미흡
  • 영세한 기업 규모
  • 한국형 모델 미정립

'16 농식품부 스마트팜 정책추진 결과 여론조사

*농촌진흥청 농촌인적자원개발센터의 [스마트팜원예] 과정을 기반으로 정리한 내용으로, 가축보다는 원예에 초점이 맞춰져 있습니다.